시사경제
'4분기 연속 0.1% 미만 성장'...IMF 위기 때도 없던 경제 참사

특히 우려되는 점은 1분기에 주요 지출 항목이 모두 전기 대비 감소했다는 것이다. 내수 부진의 골이 더욱 깊어져 국내총생산에서 비중이 큰 건설투자는 작년 2분기부터 매 분기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전기 대비 감소율은 -3.2%,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2%에 달한다. 건설투자 부진은 매 분기 성장률을 0.3~0.6%포인트씩 갉아먹고 있다.
한국은행은 "건설은 고금리 시기를 거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과 미분양 증가, 주요 원자재값과 인건비 급등 등으로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최근 1년간 성장의 발목을 잡은 핵심 요인"이라고 지목했다. 서울 부동산 시장은 뜨거웠지만 비수도권 지역은 여전히 침체 상태다.
민간소비도 지난해 3·4분기 반등(0.5%·0.2%)했다가 다시 주춤(-0.1%)했다. 한은은 "가계부채와 고령화 등 구조적인 문제에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급증했던 내구재 소비의 기저효과가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들이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목돈 지출을 꺼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간 성장률을 꾸준히 받쳐온 설비투자(-2.1%)와 수출(-1.1%)도 부진했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수출 품목이 감소했으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철강·석유화학 등의 수출이 줄었다. 에너지와 원자재·중간재 수입도 동시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나마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한 '불황형 성장' 덕분에 성장률 하락을 일부 상쇄했다.
정부 소비(0.0%포인트)와 투자(0.1%포인트)의 성장 기여도는 미미했다. 전문가들은 정치 불확실성 속에서 정부가 선제적인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적극적인 노력에 나서지 않고, 재정 조기 집행에만 매달린 결과라고 지적한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말 정국 혼란이 성장세 악화를 더했다. 신규 부양책 집행이 이뤄지지 않는 속에 더딘 예산 집행이 충격을 키웠다"고 말했다.
향후 전망은 더욱 어둡다. 4월에도 소비자심리지수와 기업심리지수는 20년 장기 평균선(100)을 밑돌며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미국발 관세 충격이 본격화하기도 전에 내수와 수출이 동반 부진에 빠진 점이다. 김진욱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저조하고 미국 관세로 인한 부정적 충격이 본격적으로 장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오직 왕(王)들만 먹었다는 천하제일 명약 "침향" 싹쓰리 완판!! 왜 난리났나 봤더니..경악!
- "한국로또 망했다" 이번주 971회 당첨번호 6자리 모두 유출...관계자 실수로 "비상"!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